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빅데이터
- 리트코드
- DataScience
- GenerativeAI
- Blazor
- 클라우드
- TwoPointer
- 코드업파이썬
- 구글퀵랩
- 생성형AI
- 데이터사이언스
- Azure
- 자연어처리
- gcp
- nlp
- GenAI
- codeup
- 투포인터
- 파이썬
- 파이썬기초100제
- 코드업100제
- 알고리즘
- LeetCode
- C#
- 코드업
- 머신러닝
- 파이썬알고리즘
- Microsoft
- 파이썬기초
- Python
- Today
- Total
목록파이썬기초100제 (6)
Tech for good
while문의 기본 구조 반복해서 문장을 수행해야 할 경우 while문을 사용한다. 그래서 while문을 반복문이라고도 부른다. 다음은 while문의 기본 구조이다. while : ... while문은 조건문이 참인 동안에 while문 아래의 문장이 반복해서 수행된다. https://wikidocs.net/21 03-2 while문 [TOC] ## while문의 기본 구조 반복해서 문장을 수행해야 할 경우 while문을 사용한다. 그래서 while문을 반복문이라고도 부른다. 다음은 while문의 ... wikidocs.net 6071 : [기초-반복실행구조] 0 입력될 때까지 무한 출력하기 임의의 정수가 줄을 바꿔 계속 입력된다. -2147483648 ~ +2147483647, 단 개수는 알 수 없다. ..
6065 : [기초-조건/선택실행구조] 정수 3개 입력받아 짝수만 출력하기 3개의 정수(a, b, c)가 입력되었을 때, 짝수만 출력해보자. 예시 a, b, c = input().split() a = int(a) b = int(b) c = int(c) if a%2==0 : #논리적으로 한 단위로 처리해야하는 경우 콜론(:)을 찍고, 들여쓰기로 작성 한다. print(a) if b%2==0 : print(b) if c%2==0 : print(c) 참고 if 조건식 : 실행1 #조건식의 평가값이 True 인 경우 실행시킬 명령을 들여쓰기를 이용해 순서대로 작성한다. 실행2 실행3 #들여쓰기를 하지 않은 부분은 조건식에 상관이 없음 python 에서는 논리적 실행단위인 코드블록(code block)을 표현하기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65WZL/btruyML1tgM/FRAEbcvHFQxlr2j1aHtdkK/img.png)
6059 : [기초-비트단위논리연산] 비트단위로 NOT 하여 출력하기 입력 된 정수를 비트단위로 참/거짓을 바꾼 후 정수로 출력해보자. 비트단위(bitwise)연산자 ~ 를 붙이면 된다.(~ : tilde, 틸드라고 읽는다.) ** 비트단위(bitwise) 연산자는 ~(bitwise not), &(bitwise and), |(bitwise or), ^(bitwise xor), (bitwise right shift)가 있다. 예를 들어 1이 입력되었을 때 저장되는 1을 32비트 2진수로 표현하면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1 이고, ~1은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0 가 되는데 이는 -2를 의미한다. 예시 a = 1 print(~a) #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9bCHR/btrtOz0tJGY/tkdtGn2fNZbzk5Uor2q7O0/img.png)
6046 : [기초-비트시프트연산] 정수 1개 입력받아 2배 곱해 출력하기 정수 1개를 입력받아 2배 곱해 출력해보자. 참고 *2 를 계산한 값을 출력해도 되지만, 정수를 2배로 곱하거나 나누어 계산해 주는 비트단위시프트연산자 를 이용할 수 있다. 컴퓨터 내부에는 2진수 형태로 값들이 저장되기 때문에, 2진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값들을 왼쪽()으로 지정한 비트 수만큼 밀어주면 2배씩 늘어나거나 1/2로 줄어드는데, 왼쪽 비트시프트()가 될 때에는 왼쪽에 0(0 또는 양의 정수인 경우)이나 1(음의 정수인 경우)이 개수만큼 추가되고, 가장 오른쪽에 있는 1비트는 사라진다. 예시 n = 10 print(n1) #10을 반으로 나눈 값인 5 가 출력된다. print(n2) #10을 반으로 나눈 후 다시 반으..
6032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1개 입력받아 부호 바꾸기 입력된 정수의 부호를 바꿔 출력해보자. 입력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출력 부호를 바꿔 출력한다. 입력 예시 -1 출력 예시 1 n = int(input()) print(-n) 6033 : [기초-산술연산] 문자 1개 입력받아 다음 문자 출력하기 문자 1개를 입력받아 그 다음 문자를 출력해보자. 영문자 'A'의 다음 문자는 'B'이고, 숫자 '0'의 다음 문자는 '1'이다. 예시 ... print(chr(n+1)) 참고 숫자는 수를 표현하는 문자로서 '0' 은 문자 그 자체를 의미하고, 0은 값을 의미한다. 힌트 아스키문자표에서 'A'는 10진수 65로 저장되고 'B'는 10진수 66으로 저장된다. 따라서, 문자도 값으로 덧셈을 할 수 있다.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w10v/btrsysh71aD/Go5lKbBL9TkRIcERTW5Ia1/img.png)
6014 : [기초-입출력] 실수 1개 입력받아 3번 출력하기 실수(real number) 1개를 입력받아 줄을 바꿔 3번 출력해보자. 입력 예시 0.1 출력 예시 0.1 0.1 0.1 num = input() print((num + "\n") * 3) 6015 : [기초-입출력] 정수 2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2 공백을 두고 입력된정수(integer) 2개를 입력받아 줄을 바꿔 출력해보자. 예시 a, b = input().split() print(a) print(b) 과 같은 방법으로 두 정수를 입력받아 출력할 수 있다. 참고 python의 input()은 한 줄 단위로 입력을 받는다. input().split() 를 사용하면, 공백을 기준으로 입력된 값들을 나누어(split) 자른다. a, b =..